728x90
; ;
공직가치(public value) 혹은 행정가치(administrative value)란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로, ‘무엇을 위한 행정인가?’를 논할 때, ‘무엇’에 해당되는 것으로, 좁게는 공통 선(common good), 공익(public interests)을 의미합니다. 현대사회에서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하기 위해서, 행정이 단순히 법의 집행만 할 것이 아니라, 행정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에 공직자가 직무수행상 항상 염두에 두고 지침으로 삼을 것이 공직 가치입니다. 공직가치의 분류 본질적 가치; 행정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궁극적 가치 예; 공익, 정의, 형평, 자유, 평등 등 수단적 가치; 본질적 가치를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가치 (비본질..
공정성이론(Equity Theory)은 존 애덤스(J.S.Adams)가 1965년에 제시한 동기부여 이론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투입(노력, 성과, 기술 등)과 산출(보상, 인정, 승진 등)의 비율을 타인과 비교하여 공정성을 판단하고, 공정성을 유지하거나 회복하기 위해 행동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공정성이론은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에 근거하여, 사람들은 자신의 상황을 평가할 때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판단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때,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상황이나 역할을 가진 사람들을 비교대상으로 선택하고, 비교대상과의 투입-산출 비율이 같으면 공정하다고 인식하고, 비율이 다르면 불공정하다고 인식합니다 공정성이론은 조직에서의 동기부여에 중요한 영향..
동기부여란 무엇일까요? 동기부여는 개인이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자극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기부여는 조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왜냐하면 동기부여가 높은 구성원은 성과를 향상시키고, 만족감을 느끼고, 조직에 충성하고, 협력하고, 창의적이고, 적극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동기부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동기부여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설명하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이번에 소개할 이론은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이론입니다.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이론은 브룸의 기대이론을 확장하고 보완한 이론으로, 동기부여의 과정과 결과를 포괄적으로 설명합니다. 브룸의 기대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브룸의 기대이론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브룸..
인간의 행동은 어떤 원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일까요? 우리는 왜 특정한 일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일까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많은 심리학자들이 인간의 동기부여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해 왔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Vroom의 기대이론입니다. Vroom의 기대이론은 1964년에 Victor H. Vroom이 제안한 이론으로, 인간의 행동은 특정한 결과를 기대하고 그 결과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고 주장합니다. 즉, 우리는 어떤 일을 할 때, 그 일을 잘 해내면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그 보상이 얼마나 우리에게 중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대와 가치의 조합이 우리의 동기부여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Vroom의 기대이론의 핵심입니다. ..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에게 개인 단위로 무조건적으로 주기적으로 현금으로 지급되는 소득이다. 기본소득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생활 수준을 보장하고, 자유와 품위를 증진하고, 사회적 참여와 창의성을 활성화하는 것이며, 복지국가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복지국가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로서 새로운 사회 계약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소득은 정의롭다고 할 수 있는가? 기본소득에 대한 가장 흔한 반대 논거 중 하나는 기본소득이 분배 정의와 공정성의 관념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즉, 무위도식하는 사람에게까지 기본소득을 주는 것은 무임승차를 용인하고 조장하는 것으로서 공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기본소득을 시혜로 보는 관점에서 나오는 것이다. 롤스의 정의론 중 ‘차등의 법칙(diff..
공화주의와 대한민국의 역사적 연관성 공화주의는 개인주의적 자유주의 혹은 소유적 개인주의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개인이 사적으로 누려야 할 권리의 확보보다는 시민(혹은 공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德)의 고양을 강조하는 이념을 말한다. 자유주의와 함께 현대국가를 형성하는 두 개의 큰 축이며, 동시에 자유주의를 견제하는 선의의 라이벌 사상이기도 하다. 그리고. 국가의 권력과 부를 공공의 것으로 되돌리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시민들이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정치이념이다. 공화주의는 단순히 군주나 귀족의 통치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덕을 갖추고, 정치에 참여하고, 공공선을 추구하는 것을 강조한다. 그래서 공화주의는 민주주의와 함께 현대 국가의 기본 원리이지만, 민주주의가 개인의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