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
Z세대(1997~2012년생)는 소비를 자아·관계·신념의 언어로 씁니다.제품은 기능을 넘어 나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신호가 되었고, 같은 브랜드를 쓰는 사람끼리 정체성의 유대감을 느끼는 현상은 더 이상 이상한 사회적 현상이 아닙니다. 2024년 에델먼 스페셜 리포트에서 “같은 브랜드 사용자와 연결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Z·밀레니얼에서 10명 중 6명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브랜드 선택이 “나의 입장 표명”이 된 겁니다. 행동 데이터도 같은 방향을 가리킵니다.NYU Stern의 2024 Sustainable Market Share Index에 따르면 지속가능성 마케팅 제품의 점유율은 2015년 이후 +4.8%p(→ 18.5%)로 커졌고, 팬데믹·인플레이션 고점에도 성장세가 유지되었습니다. 가치 정..
MZ세대, 조직을 흔드는 '개인주의'라는 키워드 "회식은 자율 참여, 주말 출근은 절대 불가!"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 흔히 들리는 말입니다.윗세대에게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이러한 발언이 이제는 일상적인 풍경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집단주의적 구호 아래 똘똘 뭉쳐 밤늦도록 야근하고, 주말도 반납하며 회사를 위해 헌신하는 것이 미덕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상사의 지시에는 맹목적으로 따르고, 사적인 희생을 당연하게 여기던 그 시절의 기업 문화는 대한민국 경제를 고속 성장시킨 원동력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젊은 세대, 흔히 MZ세대라고 불리는 이들은 이러한 문화에 대해 '왜?'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회사가 ..
헤이르트 호프스테더(Geert Hofstede, 1928년 10월 2일 ~ 2020년 2월 12일)는 네덜란드 출신의 사회심리학자로, '문화 차원 이론'이라는 혁신적인 프레임워크를 통해 전 세계 조직 및 문화 연구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는 엔지니어링 학위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사람과 조직의 행동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사회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학문적 전환을 이뤘다. 특히, 다국적 기업 IBM에서 근무하며 수행한 방대한 규모의 설문조사 데이터는 그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고, 전 세계 수만 명의 IBM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며, 각기 다른 국가와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이 직장과 사회에 대해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를 정량화하는 데 성공했다. 호프스테더의 연구..
기계가 인간을 위협할 때, 우리는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기계는 우리를 도와주는 존재일까, 아니면 빼앗는 존재일까?”인류는 산업혁명 이후로 끊임없이 이 질문 앞에 서 있었습니다. 200여 년 전, 영국의 방직공들은 새로 도입된 자동직기와 방직기계 앞에서 커다란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고된 기술을 통해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공장주들은 훨씬 더 효율적인 기계를 도입하면서 고용을 줄이고 임금을 낮추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이들 노동자들은 절박한 심정으로 기계를 부수는 방식으로 저항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러다이트 운동(Luddite Movement)’의 시작입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우리는 이 역사적 장면을 그저 과거의 사건으로만 바라보아도 되는 것일까요?기계가 방직공의 일을 대신했던 19세기와 달..
세금은 얼마나 걷어야 적당한가 – 래퍼 커브가 던지는 오래된 질문국가가 운영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재정이고, 재정의 기반은 결국 세금이다.세금은 도로와 병원을 만들고, 교육과 복지를 가능하게 하며, 시장에 개입할 수 있는 공공의 도구로 기능하지만, 국민의 주머니에서 가져가는 이 재정 수단은 언제나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한다.너무 적으면 국가 기능이 위태로워지고, 지나치면 국민의 경제활동 의지를 꺾는다.과연 정부는 어느 지점에서 멈춰야 하는가?세율은 어느 선까지 올릴 수 있을까?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수많은 경제학자들이 이론과 데이터를 오가며 씨름해왔다. 그 가운데, 단 하나의 곡선이 전 세계 조세정책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래퍼 커브(Laffer Curve)다. ..
한 나라의 세금 정책은 단순한 재정 확보 수단을 넘어, 그 사회가 어떤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명확한 ‘정치경제적 신호’입니다. 세금은 국민과 국가 간의 계약이자, 정책 당국이 경제 주체들에게 보내는 인센티브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이재명 정부의 2025년 세법개정안이 발표되자, 언론과 경제계는 곧바로 긴장감 있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법인세율을 다시 25%로 복원하고,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를 부활시키며, 금융투자소득세 도입을 재논의하는 이 정책은 단순한 '세율 조정' 그 이상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과연 세수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인가? 혹은 투자 위축과 경제활동 감소라는 부작용을 초래하게 될 것인가? 이 질문을 던질 때 우리가 반드시 마주해야 하는 이론이 바로 래퍼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