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
우리가 데이터를 다룰 때 가장 먼저 마주하는 질문은 “이 수치들의 중심은 어디일까?”, 그리고 “값들이 얼마나 퍼져 있을까?”입니다. 예를 들어, 학급의 시험 점수를 보며 평균이 80점이라면, 우리는 대부분의 학생이 그 언저리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중요한 질문 하나가 추가됩니다. “그 평균 근처에 대부분이 있는가, 아니면 극단적인 값들 때문에 평균만 그렇게 나온 걸까?”이 두 질문에 답해주는 핵심 도구가 바로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입니다. 이 두 통계 지표는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의 기초 중의 기초이자, 모든 통계분석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평균은 전체 데이터의 중심을 알려주며, 표준편차는 그 중심에서 데이터..
통계는 관계를 밝혀내는 언어입니다통계를 배우다 보면, 처음에는 숫자의 집합처럼 느껴지던 데이터가 어느 순간 말없이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처음에는 단지 숫자들이 나열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숫자들 사이에는 어떤 규칙성, 경향성, 그리고 때로는 의미 있는 인과관계가 숨어 있습니다. 특히 우리가 흔히 접하는 사회조사나 마케팅 리서치, 여론조사 결과 등을 조금 더 깊이 이해하려면, 단일 변수의 빈도나 평균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두 변수 간의 관계, 다시 말해 “이것과 저것은 관련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필요한 분석 방법이 바로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입니다. 교차분석은 두 개 이상의 범주형 변수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응답은 무엇이었나요?”“사람들이 가장 선호한 항목은 무엇일까요?”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통계 분석이 바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입니다. 빈도분석이란 무엇일까요?각 항목(값)이 얼마나 자주 등장했는지를 세는 것.통계 분석의 기초 중의 기초로, 데이터를 정리하는 첫걸음이며, 명목형 변수와 서열형 변수에서 특히 많이 활용되는 분석 기법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가장 좋아하는 커피 종류’ 결과에서, 200명 중 85명이 아메리카노를 골랐다면? 아메리카노의 빈도는 85이며, 이는 해당 커피가 가장 선호된 항목임을 알려줍니다. Jamovi는 이런 빈도분석을 정말 직관적이고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
드디어 변수의 역할까지 왔어요!오늘의 주제: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통계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듣는 말“이 변수는 독립변수고, 저건 종속변수야. 그리고 이건 매개변수니까 분석 방식이 달라져야 해.” 😱 “변수가 왜 이렇게 많아…? 다 달라 보이는데 무슨 차이지?” 이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이 네 가지 변수의 정체를 하나하나 정말 쉽게 풀어드립니다! 변수의 세계, 이렇게 나뉩니다1.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정의: 원인을 제공하는 변수, 시작점이 되는 변수먼저 독립변수는 말 그대로 ‘혼자 독(獨)’, ‘설정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는 기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독립변수는 내가 조작하거나, 실험 상황에서 통제하는 변수예요.실험이나 연구의 출발점이자, 다른 변수..
“과연 이 차이는 우연일까, 진짜일까?”이 질문에 답을 주는 것이 바로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입니다.그리고 가설검정의 출발점은 바로 가설(Hypothesis)을 세우는 것! 오늘은 통계학에서 가장 스릴 넘치는 과정인 가설 수립, 그중에서도 귀무가설(Null Hypothesis)과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의 차이와 의미를 재미있게 풀어볼게요.1. 가설이 뭐길래?‘가설’이란, 아직 증명되지 않았지만, 시험해보고 싶은 주장이에요.이건 마치 과학실험에서 “이 식물은 빛이 없으면 자라지 않을 거야!”라는 주장을 세우고, 관찰을 통해 확인하는 것과 똑같습니다.하지만 통계에서는 이걸 조금 독특한 방식으로 다뤄요.통계적 가설(Hypothesis) = 어떤 모집단에 대한 ..
“연구는 질문에서 시작된다!”“통계를 한다”는 말, 참 많이 들어봤지만…막상 내가 뭔가를 조사하거나 분석하려고 하면 막막하죠? ✔ “무엇을 알고 싶지?” ✔ “무엇을 조사해야 하지?” ✔ “어떤 변수를 측정해야 하지?” 이런 고민은 바로 ‘연구 문제(Research Question)’를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돼요.오늘은 연구 문제를 어떻게 정하고, 변수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1. 연구 문제란 무엇인가요?연구 문제(Research Question)는 말 그대로 “무엇을 알고 싶은가?”에 대한 물음이에요. ✔ 이 질문은 통계에서의 분석의 방향을 정해줘요.✔ 이 질문이 잘못되면, 이후의 분석도 방향을 잃게 됩니다. 좋은 연구 문제의 조건 조건 설명 구체적이어야 함막연하면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