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ay 10: 빈도분석 완전정복 - 명목형·서열형 변수 분석의 모든 것
 

Day 10: 빈도분석 완전정복 - 명목형·서열형 변수 분석의 모든 것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응답은 무엇이었나요?”
“사람들이 가장 선호한 항목은 무엇일까요?”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통계 분석이 바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입니다.

 

빈도분석이란 무엇일까요?

각 항목(값)이 얼마나 자주 등장했는지를 세는 것.

통계 분석의 기초 중의 기초로, 데이터를 정리하는 첫걸음이며, 명목형 변수와 서열형 변수에서 특히 많이 활용되는 분석 기법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가장 좋아하는 커피 종류’ 결과에서, 200명 중 85명이 아메리카노를 골랐다면? 아메리카노의 빈도는 85이며, 이는 해당 커피가 가장 선호된 항목임을 알려줍니다.

 

Jamovi는 이런 빈도분석을 정말 직관적이고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복잡한 명령어나 코딩 없이, 클릭 몇 번만으로 데이터의 특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죠.

 

오늘은 Jamovi에서 제공하는 빈도분석(Frequencies) 모듈을 활용해,

  • 명목형(Nominal) 변수와
  • 서열형(Ordinal) 변수의
    빈도를 분석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배우겠습니다.

또한 최빈값(mode), 비율(percent), 누적 백분율(cumulative percent), 그리고 그래프 시각화까지 실습으로 익혀보겠습니다.

 

1. 빈도분석이란 무엇인가요?

정의 : 빈도분석은 데이터 내의 각 범주(값)가 얼마나 자주 출현했는지를 계산하는 통계 분석 기법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변수 유형

  • 명목형(Nominal): 이름만 있고 순서가 없는 변수. (예: 성별, 혈액형)
  • 서열형(Ordinal): 순서는 있으나 간격이 명확하지 않은 변수. (예: 만족도 등급)

주요 분석 내용

분석 항목 의미
Frequency 값이 나온 횟수
Percent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 (%)
Valid Percent 결측치를 제외한 비율
Cumulative Percent 누적 백분율
Mode 가장 자주 나온 값 (최빈값)

 

2. Jamovi에서 빈도분석하는 방법

① Jamovi 실행 및 데이터 불러오기

Jamovi 실행 및 데이터 불러오기
  • Jamovi를 실행합니다.
  • [열기]를 클릭하여 .csv 또는 .xlsx 파일을 불러옵니다.
  • 또는 직접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② 명목형/서열형 변수 설정하기

  • 변수 위에서 우클릭 → “측정 수준” 설정:
    • Nominal: 이름형 (예: 성별, 혈액형)
    • Ordinal: 서열형 (예: 만족도, 학력수준)

③ 빈도분석 실행 경로

  • 상단 메뉴 → Analyses  Frequencies 

④ 분석 옵션 구성

항목 설명
Variables 분석할 변수 선택
Counts 빈도수 출력
Percentages 백분율 출력
Mode 최빈값 출력
Bar Plots 막대 그래프 출력

 

⑤ 예시: 성별 데이터 분석

성별 빈도(Frequency) 비율(Percent)
남성 120 60%
여성 80 40%

 

→ 최빈값: 남성
→ 그래프: Bar Plot으로 시각화 가능

3. 명목형 vs 서열형 변수의 해석 차이

항목명목형서열형

항목 명목형 서열형
순서 유무 없음 있음
예시 성별, 지역, 혈액형 만족도, 등급
해석 방식 최빈값 중심 누적 백분율, 순위 해석 가능
그래프 막대그래프 (Bar Plot) 누적형 막대그래프 가능

 

예시: 만족도 조사 (서열형 변수)
응답 항목: 매우 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 불만족
→ 순서가 존재하므로, ‘보통 이상 응답 비율’을 계산하는 누적 백분율 해석이 가능합니다.

명목형 vs 서열형 변수

 

4. 시각화 기능 – 그래프로 더 직관적으로!

Jamovi는 다음과 같은 시각화 도구를 제공합니다:

  • Bar Plot: 범주형 변수의 빈도를 시각화
  • Pie Chart (원형 차트): 백분율 시각화 (외부 플러그인 필요)
  • 누적 막대그래프: 서열형 변수 해석 시 사용

이런 시각화는 발표자료, 보고서, 논문 작성에 매우 유용합니다.

 

5. 실습 과제와 퀴즈

가. 아래 데이터를 Jamovi에 입력하세요

이름 성별만 만족도
김영희 여자 매우 만족
이철수 남자 보통
박민수 남자 만족
최지연 여자 매우 만족
한상우 남자 불만족

 

나. 다음을 분석하세요

  • 성별의 빈도, 백분율, 최빈값
  • 만족도의 누적 백분율
  • 그래프 시각화 (Bar Plot)

분석

  1. 성별은 어떤 변수 유형인가요? → (   )
  2. 만족도는 어떤 변수 유형인가요? → (   )
  3. 가장 자주 선택된 만족도 응답은? → (   )

 

빈도분석은 모든 분석의 출발점입니다

빈도분석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이해하는 첫 단계”입니다.
명목형 변수에서는 무엇이 많았는가, 서열형 변수에서는 어떤 순서로 많이 나왔는가, 이 두 가지 핵심만 파악해도 데이터의 절반은 이해한 셈입니다.

빈도분석

 

Jamovi는 이러한 빈도분석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강력하고 직관적인 도구입니다.

클릭 몇 번으로 통계의 세계에 입문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큰 장점이지요.

이제는 복잡한 수식 없이도 통계를 즐길 수 있는 시대입니다.


오늘 배운 빈도분석은, 이후에 배울 교차분석, t검정, 회귀분석의 기초가 됩니다.
‘가장 많이 나오는 값’을 찾는 것에서 출발해, ‘무엇이 영향을 주는가’를 탐색하는 추론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