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 URL 없이 중복된 페이지? 구글은 이런 페이지를 기억하지 않습니다
 

표준 URL 없이 중복된 페이지? 구글은 이런 페이지를 기억하지 않습니다

 

중복된 페이지, 구글은 왜 ‘하나만 기억’할까요?

웹사이트를 관리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의 페이지가 여러 URL로 존재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경우죠:

  • example.com/product/123
  • example.com/product?id=123
  • example.com/product/123?ref=naver

내용은 완전히 똑같은데, URL만 다릅니다.

표준 URL 없이 중복된 페이지

이럴 때 Google Search Console(GSC)에 나타나는 경고 메시지:

 

❗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
이러한 페이지는 색인이 생성되지 않거나 Google에 게시되지 않습니다.

 

“잠깐, 중복됐다고 색인이 안 된다고?”
“그럼 그 페이지는 검색 결과에도 안 나온다는 건가요?”

 

그렇습니다.


구글은 기본적으로 중복된 콘텐츠를 싫어합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건,
‘어떤 URL을 대표로 삼을지’를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으면, 구글은 그냥 색인을 포기하거나 임의로 다른 URL을 선택합니다.

🤔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웹사이트는 사용자 경험과 마케팅을 위해 다양한 URL을 만듭니다.

  • 트래킹 파라미터
  • 정렬 조건
  • 필터
  • 언어 버전
  • 모바일/PC 구분

하지만 이런 URL들이 너무 많고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 구글은 “이 페이지들 중 하나만 색인해야겠군요”라고 판단하게 됩니다.

그런데… 어떤 걸 색인해야 할지는 사용자(=운영자)가 정해야 합니다.  그걸 명확히 하지 않으면?

 

“알겠어, 너한테 물어봐도 대답 안 하니 색인 안 할게.”
가 되어버리는 겁니다 😨

 

💡 그래서 이 글에서 다룰 내용은?

  • 이 메시지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 중복 콘텐츠의 기준은 무엇인지
  • 구글은 어떤 기준으로 표준 URL을 판단하는지
  • canonical 태그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 실무에서 어떤 실수가 많은지
  • 그리고 검색에 꼭 반영되게 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실제 예시와 함께, 검색엔진 최적화(SEO) 관점에서 ‘중복 콘텐츠 처리’라는 민감한 주제를 쉽고 실용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표준 URL 없이 중복된 페이지? 

1. GSC에서 말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란?

Google Search Console에서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
이러한 페이지는 색인이 생성되지 않거나 Google에 게시되지 않습니다.

 

표준 URL 없이 중복된 페이지

 

이 메시지가 의미하는 건 다음과 같습니다:

  • 해당 페이지는 다른 페이지와 내용이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다
  • 하지만 canonical 태그 등으로 어떤 페이지가 ‘대표(표준)’인지 명시되지 않았다
  • 따라서 Google은 이 URL을 색인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당신의 페이지가 아무리 열심히 만들어졌어도, “중복”으로 판단되면 구글은 기억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구글은 왜 중복 콘텐츠를 싫어하나요?

구글은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가치 있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싶어합니다. 그런데 똑같거나 비슷한 콘텐츠가 여러 URL에 분산돼 있다면?

  • 검색 결과에 비슷한 페이지가 반복적으로 노출
  • 크롤링 리소스 낭비
  • 색인 효율 저하
  • 사용자 경험 저하

결국 구글은 이를 SEO 품질 문제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구글은 중복 콘텐츠가 있다고 판단되면

  1. 대표 페이지(표준 URL)를 스스로 선택하거나
  2. 색인 자체를 보류하게 됩니다.

 

3. 중복 콘텐츠란 정확히 어떤 걸 말할까?

유형 예시 설명
동일 콘텐츠 URL 중복 /product/123, /product?id=123 파라미터만 다름
카테고리/태그 중복 /category/shoes, /tag/shoes 같은 상품을 다른 경로에서 출력
모바일/PC 버전 m.example.com/page, www.example.com/page 동일한 내용, 다른 URL
프린트 전용 페이지 /print-view/page 본문은 동일
트래킹 파라미터 URL ?ref=naver, ?utm_source=email 분석용 파라미터 포함 URL

 

이런 페이지들이 많을수록 구글은 “중복이 너무 많아, 하나만 기억할래” 모드로 들어갑니다.

 

4. canonical 태그 – 구글에게 “이게 진짜예요!”라고 말해주는 방식

여기서 등장하는 핵심 무기가 바로:

<link rel="canonical" href="https://example.com/real-page" />

 

이 태그는 HTML <head> 영역에 들어가며, 구글에게 다음과 같이 말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페이지는 사실상 이 URL의 복사본이에요.
그러니까 색인은 이걸로 해 주세요.”

이렇게 하면:

  • 중복 콘텐츠가 색인되지 않고
  • 대표 URL 하나로 검색 결과가 집중되고
  • SEO 점수 분산 없이 모을 수 있게 됩니다

 

5. Search Console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현상

  • 색인이 되지 않은 URL을 검사하면
    → 상태: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
  • 색인 생성 요청이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음
  • 표준 URL로 추정되는 다른 페이지만 색인됨
해결책: canonical 태그 명시 → 표준 URL 제출 → 색인 요청

6. 실무에서 자주 터지는 중복 이슈 사례

🛒 쇼핑몰 필터 페이지

/products/shoes  
/products/shoes?color=black  
/products/shoes?color=black&size=270

 

→ 내용은 비슷한데 URL만 달라서 중복 처리됨

📝 블로그 플랫폼 자동 생성 URL

  • post/12345, tag=SEO, category=디지털마케팅
    → 같은 글이 여러 경로로 열림

🖥 모바일/PC 페이지 구분 없는 리디렉션

  • m.example.com/pagewww.example.com/page가 동일한 내용
    → 구글은 중복으로 판단

중복 페이지

7. 해결 전략 – 표준 URL사용하기

🔧 1) canonical 태그 정확히 쓰기

  • 모든 중복 페이지에 대표 URL을 canonical로 명시

🔧 2) 사이트맵에 표준 URL만 포함

  • 크롤러가 불필요한 페이지를 색인하지 않게 함

🔧 3) robots.txt 또는 noindex 사용

  • 진짜 보여주고 싶은 페이지 외의 경로는 크롤링 차단 or 색인 제외

🔧 4) Search Console로 상태 점검

  • 색인 누락 페이지를 URL 검사 도구로 확인
  • canonical 설정 후 색인 요청 진행

 

중복된 콘텐츠는 죄가 아닙니다. 문제는 ‘표준이 없는 것’입니다.

Google은 매일 수십억 개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합니다. 그 과정에서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페이지를 만나면,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 중에 하나만 기억할게. 근데… 너희가 어떤 걸 기억하라고 말해주지 않네?”

 

그게 바로 GSC에서 말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입니다.

🧩 핵심 정리

  • 이 오류는 ‘색인에서 제외된 중복 페이지’라는 뜻입니다.
  • canonical 태그를 통해 구글에게 “이게 진짜입니다”라고 알려줘야 합니다.
  • 중복 콘텐츠 자체는 흔한 일이지만,
    표준 URL을 지정하지 않으면 구글은 그 페이지를 무시할 수 있습니다.

💡 실무 인사이트

“검색되고 싶다면, 누가 ‘대표’인지 정확히 알려줘야 한다.”

 

브랜드도, 콘텐츠도, 페이지도  구글에겐 명확한 표준과 질서가 있어야 색인이 됩니다.

지금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비슷한 페이지가 여러 개 있다면, 그중 어떤 것이 대표인지 명확히 해 주세요.

그 작은 명시 하나가 검색 노출의 기준을 만들고, 당신의 페이지를 기억하게 하는 단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