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arch Console 경고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 이건 정상일까, 문제일까?
 

Search Console 경고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 이건 정상일까, 문제일까?

 

색인이 안 됐다고? 표준 태그도 달았는데?

 

사이트를 잘 운영하고 있었는데,
Google Search Console(GSC)을 열어보니 이런 메시지가 떡하니 떠 있습니다: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 이러한 페이지는 색인이 생성되지 않거나 Google에 게시되지 않습니다.”

일단 ‘색인이 안 됐다’는 말에 가슴이 철렁합니다.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하지만 자세히 읽어보면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되었다", 즉 canonical 설정은 되어 있다는 얘기죠.

그러면 질문이 생깁니다.

 

"이건 오류인가요, 정상인가요?"

"색인이 안 됐다면 내 페이지가 검색에 안 나오는 건가요?"

"표준 태그 설정한 건 잘한 거 아닌가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메시지는 반쯤은 안심해도 되지만, 반쯤은 조심해야 하는 경고입니다.


제대로 canonical이 작동한 경우엔 정상적인 상태이지만,
설정이 잘못되었다면 검색 누락, SEO 점수 분산, 중요 페이지 비노출로 이어질 수도 있거든요.

 

🤔 이게 정상일 수도 있고, 문제가 될 수도 있다?

canonical 태그는 말 그대로 “이 중에 대표는 이거야”라고  구글에게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그런데 설정한 canonical이 정말 '의도한 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지 않으면, GSC는 곧 이렇게 말하죠:

 

“이 페이지는 대체 페이지로 처리했어요. 그래서 색인은 안 했어요.”

 

정말 의도한 대로라면 괜찮지만, 검색되고 싶었던 페이지가 실수로 대체 취급을 받았다면?


그건 분명히 수정해야 할 문제입니다.

💡 그래서 이 글에서 알려드립니다

  • GSC의 이 메시지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 어떤 경우에 ‘정상’이고, 어떤 경우엔 ‘문제’인 건지
  • canonical 태그의 개념과 설정 방법
  • 실무에서 자주 터지는 실수들
  • 검색 누락을 막기 위한 실전 점검법까지!

이 글을 읽고 나면, 당신의 canonical 설정이 구글에게 정확히 이해되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란 무엇인가요?

✅ 1. 이 메시지는 어떤 의미인가요?

Google Search Console(GSC)에 표시되는 다음 메시지: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 이러한 페이지는 색인이 생성되지 않거나 Google에 게시되지 않습니다.”

이 문장은 단순한 경고가 아닙니다.
구글이 중복 콘텐츠 처리 과정에서 일어난 '선택'의 결과를 알려주는 알림입니다.

즉,

  • 당신의 웹사이트에는 같은(또는 거의 같은) 콘텐츠를 가진 여러 페이지가 있고,
  • 그중 하나에 canonical 태그가 설정되어 있어,
  • 구글은 canonical 태그가 지정된 ‘표준 페이지’만 색인하고,
  • 나머지 페이지들은 ‘대체 페이지’로 처리하여 색인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 2. canonical 태그란? 왜 이렇게 중요한가요?

canonical(캐노니컬) 태그는 HTML 문서 <head> 부분에 위치하는 메타 태그입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example.com/original-page" />

이 태그는 구글에게 이렇게 말하는 셈이죠:

“이 페이지는 사실상 이 주소랑 똑같으니까, 색인은 저 URL로 해주세요!”

 

이 태그가 없다면 구글은 같은 내용을 가진 여러 URL 중 임의로 하나만 색인하거나, 아예 무시할 수 있습니다.

즉, canonical 태그는 중복 콘텐츠 속에서 ‘대표’를 정하는 표지판입니다.

 

✅ 3. 그럼 ‘대체 페이지’가 되는 이유는?

Google은 웹사이트 내 중복 콘텐츠를 줄이기 위해
canonical 태그를 기반으로 판단합니다.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란,

  • canonical이 설정되어 있고,
  • 구글이 그것을 유효한 표준 URL로 인식했으며,
  • 이 페이지는 색인 대상에서 제외하고,
  • 표준 페이지 하나만 검색에 반영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4. 이게 정상인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이 메시지가 뜨는 것이 오히려 긍정적인 결과입니다.

✅ 사례 1: 모바일/PC URL 분리

  • m.example.com/page → canonical: https://www.example.com/page
  • 구글은 데스크톱 버전을 색인하고, 모바일 페이지는 대체로 처리

✅ 사례 2: 파라미터 URL

  • /product?id=123 → canonical: /product/123
  • 동일 상품이지만 정리된 URL로 표준화됨

✅ 사례 3: AMP(Accelerated Mobile Page)

  • AMP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비표준이며, 표준 페이지가 색인 대상이 됨

📌 이 경우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의도한 대로 canonical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죠.

 

⚠️ 5. 문제일 수 있는 경우

문제는 canonical 설정이 의도와 다르게 잘못되어
검색되고자 했던 중요한 페이지가 대체 처리되어버리는 경우입니다.

❌ 사례 1: 중요한 블로그 글이 대체 처리됨

  • A 글에 canonical이 B 글로 잘못 설정
  • A 글은 색인되지 않고 B 글만 검색에 나옴

❌ 사례 2: 다수의 필터 URL이 표준 없이 무작위로 대체됨

  • /category?color=blue
  • /category?color=red
  • 둘 다 동일한 canonical을 가리키면 구글이 색인 제외 처리

📌 결과: 검색 유입을 기대했던 페이지가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음 😱

 

✅ 6. 확인하고 해결하는 방법

🔍 URL 검사 도구 활용

  1. GSC → URL 검사 도구에서 해당 URL 입력
  2. ‘색인 가능 여부’ →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확인
  3. “표준 URL” 항목을 클릭 → 구글이 인식한 표준 URL 확인

🛠 canonical 태그 점검

  • <head> 영역에서 canonical 설정이 올바른지 확인
  • 모든 페이지는 자기 자신 또는 실제 표준 URL을 가리켜야 함

🧹 중복 콘텐츠 정리

  • 파라미터, 정렬 방식, 필터로 유사한 URL이 다수 생기는 구조일 경우
    → canonical 태그를 사용하거나
    robots.txt, noindex 태그로 크롤링/색인 방지

🔁 Search Console 색인 요청

  • canonical을 수정했다면, URL 검사 도구 → 색인 생성 요청
  • 수일 내에 재평가됨

✅ 7. 실전 예시 – 잘못된 canonical로 인한 검색 누락

👨‍💻 쇼핑몰 A사의 사례:

  • 수많은 색상/사이즈 필터 페이지가 모두 /product?style=123 형식으로 생성
  • canonical이 전부 /product로 설정되어 있었음
  • 결과적으로 90% 이상의 상세 페이지가 검색 누락
  • canonical을 각 상품 고유 URL로 재설정 → 한 달 내 검색 유입 35% 증가

 

구글은 중복을 싫어하지만, 명확한 표준엔 박수를 보냅니다

Google Search Console에 나타나는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메시지는 당황스럽지만, 때로는 아주 정상적인 결과입니다.

 

canonical 태그는 구글에게 말하는 “이게 진짜예요”라는 약속이고, 구글은 그 약속을 믿고 표준 URL 하나만 색인합니다.

🧩 핵심 요약

  • 이 메시지는 중복 콘텐츠가 있고,
  • 그 중 표준 URL이 canonical로 명시되어 있으며,
  • 구글은 그 표준 페이지만 색인하겠다는 의사 표현입니다.

 

✔ 정상적인 경우:

canonical이 정확하게 설정된 경우 → 걱정할 필요 없음

 

❗ 문제인 경우:

잘못된 canonical 설정 → 중요 페이지가 색인에서 누락될 수 있음

 

💡 실무 인사이트

“검색되고 싶다면, 구글에게 먼저 말을 걸어야 합니다.”
그 말은 canonical 태그일 수도 있고, 표준 URL에 대한 명확한 지시일 수도 있죠.

 

SEO는 검색엔진과의 대화입니다. 

 

중복된 콘텐츠가 있다면 반드시 누군가는 대표가 되어야 하고, 우리는 구글에게 그 대표를 정확히 가리켜 줘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검색 결과에서 사라지는 건, 좋은 콘텐츠가 아니라, 말하지 않은 콘텐츠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