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
“Jamovi로 분석할 준비는 끝났습니다. 그런데 데이터를 어떻게 불러오고 정리해야 하죠?” 데이터 분석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 Jamovi를 막 설치하고 의욕에 찬 여러분이 가장 먼저 마주치는 벽은 의외로 데이터 정리(Data Cleaning)입니다. 사실 많은 통계 초보자들이 통계를 어렵게 느끼는 이유는 수학이 아니라 바로 이 ‘초기 셋팅’에서 좌절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Jamovi는 통계 분석을 쉽게 만들어주는 도구지만, 데이터를 ‘어떻게 불러오고, 어떤 구조로 정리하느냐’에 따라 결과의 신뢰도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은 ‘변수 레이블’, ‘값 레이블’, ‘변수 유형 설정’, 그리고 ‘결측값 처리’ 등, 통계 분석의 기초 체력을 길러주는 데이터 정리법에 대해 아주 자세히 배워보겠습니다. 특..
“엑셀보다 쉬운 통계 프로그램이 있다고?”통계를 배우려고 하면 늘 따라붙는 소문이 하나 있죠.“SPSS는 비싸고 복잡해… R은 코딩이 어렵대… 그럼 도대체 뭘 써야 하지?” 그럴 때 당신에게 딱 맞는 도구가 바로 Jamovi입니다.Jamovi는 무료, 직관적, 클릭 한 번으로 통계 분석이 가능한 마법 같은 프로그램이에요.마치 엑셀 + SPSS의 장점만을 뽑아 만든 듯한 느낌! 오늘은 Jamovi의 기본 화면을 탐험하고,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엑셀 파일을 불러오는 법까지 알려드릴게요. 이 과정을 통해 Jamovi와 친해지는 첫걸음을 내딛게 될 거예요.Jamovi 시작하기 전에: 설치는 했나요?Jamovi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공식 홈페이지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끝! Tip: 한글..
드디어 변수의 역할까지 왔어요!오늘의 주제: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통계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듣는 말“이 변수는 독립변수고, 저건 종속변수야. 그리고 이건 매개변수니까 분석 방식이 달라져야 해.” 😱 “변수가 왜 이렇게 많아…? 다 달라 보이는데 무슨 차이지?” 이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이 네 가지 변수의 정체를 하나하나 정말 쉽게 풀어드립니다! 변수의 세계, 이렇게 나뉩니다1.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정의: 원인을 제공하는 변수, 시작점이 되는 변수먼저 독립변수는 말 그대로 ‘혼자 독(獨)’, ‘설정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는 기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독립변수는 내가 조작하거나, 실험 상황에서 통제하는 변수예요.실험이나 연구의 출발점이자, 다른 변수..
“과연 이 차이는 우연일까, 진짜일까?”이 질문에 답을 주는 것이 바로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입니다.그리고 가설검정의 출발점은 바로 가설(Hypothesis)을 세우는 것! 오늘은 통계학에서 가장 스릴 넘치는 과정인 가설 수립, 그중에서도 귀무가설(Null Hypothesis)과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의 차이와 의미를 재미있게 풀어볼게요.1. 가설이 뭐길래?‘가설’이란, 아직 증명되지 않았지만, 시험해보고 싶은 주장이에요.이건 마치 과학실험에서 “이 식물은 빛이 없으면 자라지 않을 거야!”라는 주장을 세우고, 관찰을 통해 확인하는 것과 똑같습니다.하지만 통계에서는 이걸 조금 독특한 방식으로 다뤄요.통계적 가설(Hypothesis) = 어떤 모집단에 대한 ..
“연구는 질문에서 시작된다!”“통계를 한다”는 말, 참 많이 들어봤지만…막상 내가 뭔가를 조사하거나 분석하려고 하면 막막하죠? ✔ “무엇을 알고 싶지?” ✔ “무엇을 조사해야 하지?” ✔ “어떤 변수를 측정해야 하지?” 이런 고민은 바로 ‘연구 문제(Research Question)’를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돼요.오늘은 연구 문제를 어떻게 정하고, 변수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1. 연구 문제란 무엇인가요?연구 문제(Research Question)는 말 그대로 “무엇을 알고 싶은가?”에 대한 물음이에요. ✔ 이 질문은 통계에서의 분석의 방향을 정해줘요.✔ 이 질문이 잘못되면, 이후의 분석도 방향을 잃게 됩니다. 좋은 연구 문제의 조건 조건 설명 구체적이어야 함막연하면 안 돼..
“데이터 분포를 안다는 건, 숫자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 숫자들이란 참 신기합니다. 각각은 조용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 같지만, 함께 모이면 이야기가 생깁니다.통계학에서는 이 ‘이야기’를 데이터의 분포(Distribution) 라고 부릅니다.오늘은 데이터를 그냥 보지 않고 어떻게 흩어져 있는지, 어떻게 생겼는지까지 들여다보는 날이에요. 우리가 배울 것은 바로 이 세 가지!정규분포 (Normal Distribution)왜도 (Skewness)첨도 (Kurtosis)자, 이제 데이터의 얼굴을 함께 그려볼까요? 정규분포란? – “세상의 중심, 종 모양 곡선”✔ 정의부터!정규분포는 우리가 가장 많이 만나게 되는 분포예요.그래프 모양이 종(bell)처럼 생겼다고 해서 벨 커브(bell curve) 라고도 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