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ay 5: 통계 연구,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연구 문제 정의와 변수 설정
 

Day 5: 통계 연구,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연구 문제 정의와 변수 설정

 

“연구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통계를 한다”는 말, 참 많이 들어봤지만…
막상 내가 뭔가를 조사하거나 분석하려고 하면 막막하죠?
연구 문제

 

 “무엇을 알고 싶지?”
 “무엇을 조사해야 하지?”
 “어떤 변수를 측정해야 하지?”

 

이런 고민은 바로 ‘연구 문제(Research Question)’를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돼요.
오늘은 연구 문제를 어떻게 정하고, 변수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1. 연구 문제란 무엇인가요?

연구 문제(Research Question)는 말 그대로 “무엇을 알고 싶은가?”에 대한 물음이에요.

 

✔ 이 질문은 통계에서의 분석의 방향을 정해줘요.
✔ 이 질문이 잘못되면, 이후의 분석도 방향을 잃게 됩니다. 

변수타입

 

 

좋은 연구 문제의 조건

조건 설명
구체적이어야 함 막연하면 안 돼요! “행복이 뭘까?”보다는 “20대의 SNS 사용 시간과 행복감의 관계는?”처럼
측정 가능해야 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야 해요. “사람들의 마음속 생각”은 너무 모호하죠.
분석 가능해야 함 숫자나 범주로 바꿀 수 있어야 해요. 예: 스트레스 수준(1~5점), 주관적 만족도

 

2. 연구 문제의 예시 만들기

 나쁜 예시

“요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까?”

→ 추상적이고, 측정 방법이 없음

 

   좋은 예시

“직장인의 주당 근무 시간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 구체적!
→ 변수(근무 시간, 스트레스 수준) 명확!
→ 분석할 수 있음!

 

3. 변수 설정이란?

연구 문제를 만들었으면, 그 안에 있는 '변수(Variable)' 를 뽑아내야 해요.

 변수란?  조사 대상의 속성, 즉 ‘측정 가능한 것’을 말해요.

 

예시: “운동 시간과 수면의 질은 관계가 있을까?”

구분변수 이름변수 설명변수 유형
독립변수 운동 시간 하루 평균 운동한 시간 (분) 비율형 변수
종속변수 수면의 질 주관적 수면 만족도 (1~5점) 서열형 변수

독립변수, 종속변수

 

4. 독립변수 vs 종속변수 구분

구분 정의 쉽게 말하면 예시
독립변수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 원인, 영향력 있는 요인 운동 시간, 공부 시간
종속변수 결과로 나타나는 변수 결과, 영향을 받는 요인 수면 질, 시험 점수

 

변수 설정 팁!

가. 변수는 수치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해요.

  • “스트레스 있음/없음” → 명목형
  • “스트레스 수준 1~5” → 서열형

나. 측정 도구를 고려해야 해요.

  • 설문? 실측? 앱 사용 로그?

다. 측정 단위를 정하세요.

연구 단계

 

연구 문제 정의 + 변수 설정 요약표

단계 내용 질문 예시
1단계 연구 주제 설정 “나는 어떤 관계가 궁금하지?”
2단계 연구 문제 정하기 “이 변수와 저 변수는 관계가 있을까?”
3단계 변수 구체화 “어떤 변수를, 어떻게 측정할까?”
4단계 변수 유형 구분 “명목형? 서열형? 비율형?”

 

실전 연습: 나만의 연구 문제 만들기

주제: 스마트폰 사용 시간
관심사: 수면의 질

→ 연구 문제 만들기:
“하루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청소년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 변수 정리:

변수 설명 유형
스마트폰 사용 시간 하루 평균 시간 (분) 비율형
수면의 질 1~5점 설문 (서열형) 서열형

 

이제, 통계 분석을 위한 준비 완료!

오늘의 실습 과제

연구 문제

 

가. 당신의 관심 있는 주제로 연구 문제를 하나 만들어 보세요!

  • 예: 카페인 섭취량과 집중력

나. 독립변수, 종속변수를 구분하고, 변수 유형까지 정리해 보세요.

다. 실제 설문이나 데이터를 통해 수치화할 수 있는지도 고민해보세요!

 

 

다음은 Day 6: 가설 수립 -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입니다.

이제 데이터를 통해 진짜 ‘검증’하는 방법을 배워볼 시간이에요. 계속 함께 공부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