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
외국 여행을 하다보면 어떤 나라에서는 커피 한 잔이 1달러도 되지 않는 반면, 다른 나라에서는 같은 커피 한 잔에 5달러가 넘는 돈을 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할까요?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환율 때문만은 아닙니다. 국가 간 물가 수준의 차이에 따른 현상이라고 설명할 수 있는데,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 절대적 구매력 평가설(Absolute Purchasing Power Parity, aPPP) 입니다.절대적 구매력 평가설은 환율이 각국의 물가 수준 비율로 결정된다는 이론입니다.이를 뒷받침하는 가정이 바로 일물일가(Law of One Price)라는 가정입니다. 즉, 동일한 상품은 세계 어디서나 같은 가격으로 거래되어야 한다고 가정하는 거죠.이론적으로, 상품 가격에 차이가 있다는 ..
은행에 돈을 맡기면서 한 번쯤 이런 걱정을 해본 적 있지 않으신가요? "내 돈, 안전할까?" 뉴스에서 가끔 들려오는 은행 파산 소식은 마치 영화 속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현실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바로 이 순간, 부보예금과 예금자보호법이 당신의 든든한 안전망이 되어줍니다.부보예금이란, 쉽게 말해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는 예금을 뜻합니다.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은행, 저축은행, 보험회사 등 부보금융기관에 예치된 예금은 예금보험공사가 최대 5,000만 원까지 보장해줍니다. 이는 예금자가 경제적 손실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생깁니다. "모든 예금이 보호되나요? 한도가 있다면 그 이상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
요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 금융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RP(환매조건부채권)입니다. 이름은 조금 어렵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간단히 말해 "확정 금리를 제공하며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RP는 증권사가 국공채, 회사채 등 신뢰도가 높은 채권을 담보로 판매하고, 일정 기간 후 다시 사들이는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투자자는 RP를 구매함으로써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확보하고, 증권사는 이를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합니다. 투자 초보자에게 RP는 특히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일반적인 금융상품보다 안전성이 높고, 예금처럼 확정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이죠. 요즘은 국공채, 우량 회사채, 통안채 등을 기초 자산으로 한 다양한 RP상품이 등장하면서,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세계화의 시대에, 왜 어떤 나라는 수입을 제한할까?"라는 질문을 한 번쯤 해보셨나요? 자유롭게 무역이 이루어지는 것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이득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바로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수입 쿼터(import quota)입니다. 수입 쿼터는 특정 상품의 수입량을 제한하여 국내 산업을 보호하거나 국제수지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무역 정책입니다. 쉽게 말해, 외국에서 들어오는 상품의 양을 정해놓고, 그 이상은 더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제도죠. 이 정책은 특히 산업을 육성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 오랫동안 쌀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쿼터 제도를 적극 활용해 왔습니다. 수입할 수 있는 쌀의 양을 제한하..
경제학을 한 번쯤 공부해보신 분이라면 수요의 법칙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 법칙은 간단합니다.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늘어난다는 거죠. 말 그대로 "비싸면 덜 사고, 싸면 더 산다"는 상식적인 경제 원칙입니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이 법칙이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다는 겁니다. "왜 비싸질수록 더 사고 싶어질까?"라는 질문을 던져보면, 기펜재(Giffen Goods)나 베블런재(Veblen Goods)와 같은 특별한 예외를 만나게 됩니다.이런 재화들은 경제학에서 수요의 법칙을 정면으로 위배하며, 오히려 가격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팔리기도 합니다. 놀랍지 않나요?이 글에서는 기펜재, 베블런재, 열등재와 같은 흥미로운 경제 개념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공공과 민간의 협력, 어디까지 왔을까?"이 도로가 민간이 투자해서 지어진 거라고요?" 아마 이런 말을 들으면 신기하게 느껴질지도 모릅니다. 도로, 철도, 공항 같은 사회기반시설(SOC)은 보통 정부가 세금을 들여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죠. 하지만 요즘 시대는 다릅니다. 사회기반시설을 민간이 건설하고 운영하는 방식, 바로 민간투자사업이 우리 생활 곳곳에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민간투자사업은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이것은 정부가 감당하기 힘든 재정 부담을 덜어주고,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효율성을 통해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려는 협력 방식입니다. 이 방식 덕분에 우리는 더 빠르고 편리한 전철을 이용하고, 더 현대적인 학교와 도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 민간투자사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