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1: 통계란 무엇인가요? – 진짜 쉽게 알려드릴게요!
통계 공부, 왜 이렇게 어렵게 느껴질까요?
"통계는 숫자만 잔뜩 나와서 어려워요."
"수학은 자신 없어서… 통계는 못 할 것 같아요."
이런 말, 정말 많이 듣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통계는 "숫자를 해석하는 언어"일 뿐이에요. 우리가 매일 접하는 뉴스, 기사, 설문조사, 광고 속에도 통계가 숨어 있어요.

오늘은 그 첫걸음으로, '통계란 무엇인가?'를 아주 쉽게 배워보겠습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
통계란 무엇인가요?
통계는 데이터를 가지고 의미를 찾아내는 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숫자로 말하기"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한국인의 하루 평균 커피 소비량은 2.7잔이다."
- "이 제품을 사용한 사람의 85%가 만족했다."
이런 문장은 그냥 만들어진 게 아니라, 많은 사람의 데이터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예요.
즉, 통계는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뽑아내는 기술이에요.
통계는 왜 필요할까요?
모든 사람을 다 조사할 수는 없어요.
그래서 우리는 일부 사람(표본)을 조사해서, 전체(모집단)를 짐작해야 해요.
예시:
“20대 1,000명을 조사했더니 70%가 아침을 거른다”
→ 여기서 20대 전체의 식습관을 예측할 수 있어요.
통계는 이런 예측을 과학적으로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통계의 두 가지 큰 종류
통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이 둘을 이해하면 통계가 훨씬 쉬워집니다.
분류 | 설명 | 예시 |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 데이터를 보기 쉽게 정리 | 평균, 표준편차, 그래프, 빈도 |
추론통계 (Inferential Statistics) | 일부 데이터를 가지고 전체를 예측 | 가설검정, 회귀분석, t검정, ANOVA 등 |
아주 쉬운 예시로 알아보기
💬 기술통계 예시
아이스크림 가게 하루 매출을 알고 싶어요.
조사해보니 오늘 하루 100명이 왔고, 평균 구매 금액은 3,000원이었어요.
→ 이건 기술통계입니다.
있는 데이터를 정리해서 보여주고 있죠.
🔮 추론통계 예시
앞으로 여름이 되면 하루 평균 매출이 3,000원 이상이 될 거라고 예상합니다.
이건 추론통계입니다.
일부 데이터를 가지고 전체 또는 미래를 예측하고 있어요.

통계를 쉽게 기억하는 방법
기술통계는 정리, 추론통계는 예측이라고 외우면 좋아요!
구분 | 핵심 역할 | 비유로 설명하면… |
기술통계 | 요약, 정리 | 책 내용을 표로 요약하기 |
추론통계 | 예측, 검정 | 책 일부를 읽고 결말을 추측하기 |
오늘의 복습 정리
- 통계란?
데이터를 이용해 정보를 찾는 기술 - 왜 필요할까?
전체를 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만 보고 예측하려고 - 기술통계 vs 추론통계

오늘의 작은 과제
📄 주변 뉴스, 기사, 유튜브 영상에서 숫자가 나오는 문장을 3개 찾아보세요.
이 문장이 기술통계인지, 추론통계인지 구분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예시:
- "이번 설문조사에서 58%가 '만족'이라고 답했다." → 기술통계
- "이 제품을 사용하면 90%의 확률로 만족할 것이다." → 추론통계
이렇게 생각하면 통계가 더 쉬워요!
통계는 어렵고 복잡한 수학이 아닙니다.
‘데이터로 말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입니다.

처음에는 생소하고 낯설지만,
이해하고 나면 세상을 더 똑똑하게 바라보는 눈을 얻게 됩니다.
이제 통계라는 단어가 조금은 덜 무섭게 느껴지셨나요? 😊
다음은 Day 2: 변수의 종류 – 명목형, 서열형, 구간형, 비율형을 쉽고 재밌게 알려드릴게요!